부린백서/부동산
[전월세전환율] 전세금 올리기 vs 월세로 전환 vs 대출이 고민이 된다면 - 2022.04.28 기준
aboutmy
2022. 4. 28. 11:21
728x90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권이 생겼지만
현실은 힘이 많이 없죠
계약갱신요구권은 잘 써먹으면 좋지만,
전세가가 폭등해버리면 임대인의 입장에서는 속이 쓰리죠
전세가가 낮아지면 임차인은 다른데로 옮기고 싶구요
양날의 칼입니다.
오늘은 전월세 전환율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현재 전월세 그대로 계약갱신요구권을 사용하면 가장 좋은 방법이구요
(부동산에서 재계약을 하는 경우, 계약서 서류만 써주기도 합니다.
저는 같은 부동산이었는데도 5만원 낸적이 있네요)
전월세 전환율은 변동됩니다.
(2022.04.28 기준) 계산 해 보겠습니다.
계산식
전월세전환율을 이용하여 직접 계산해 보겠습니다.
예시 : 전세 1억을 더 올려달라고 합니다.
월세로 전환할때 얼마나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억 x 3.5% = 350만원
350만원 ÷ 12 = 29.16만원
보증금 1억은 월세 30만원정도 된다고 보겠습니다.
현재 가치로 환산한것이라 변동 됩니다.
전세자금대출금리 비교
은행에 이자를 지급하는것과
집주인에게 월세로 지급하는것을
서로 비교해보는 것이 좋겠죠!
최저금리 순으로 보니, 카카오뱅크 3.02 됩니다.
3.5% 이율로 월세30만원 내는것보다
3.02% 이율로 은행 대출을 내는것이 더 이득이겠네요!
이론상은 그렇지만 은행 대출은 개개인별로 차이가 있으니
직접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728x90